심리치료23 도널드 그린과의 첫 번째 면담(2) "당신의 사교 생활은 어떻습니까?" "내게는 아주 좋은 친구가 두 명 있습니다. 미술가인 짐과 그의 부인 메리이지요. 짐은 나보다 스무 살이나 위이고 그의 부인은 그보다 나이가 적습니다. 매주 목요일 저녁 그 집에 가서 저녁을 함께 하지요. 나는 항상 스테이크 같은 음식을 가져갑니다. 메리가 요리를 할 동안 짐과 저는 체스를 두지요. 그리고 나서 우린 함께 먹고 이야기하고, 그리고는 집으로 돌아옵니다." "그것이 당신의 사교 생활 전부인가요?" "사실상 전부입니다. 가끔 회사에서 단체로 소풍도 가고 크리스마스 파티에도 가지만 대개 난 혼자 지냅니다. 내게 사교적인 일은 별로 없습니다. 회사 식당에서 혼자 점심을 먹기도 하지만, 대개 도시락을 싸와서 사무실에서 먹습니다. 선생님은 나를 외톨이라고 생각하시겠.. 2024. 10. 24. 도널드 그린과의 첫 번째 면담 오후 한 시에 약속했던 내담자가 간 후, 나는 시간표를 보고 나서야 두 시에 새로운 내담자를 만나기로 한 것을 알았다. 내담자 이름은 철자가 정확한지 보려고 밑줄까지 쳐 놓았던 그의 이름은 도널드 그린(Donald Green)이었다. 나는 그에 대해 별다른 정보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도널드 그린이 들어섰을 때, 그는 평균보다 키가 약간 작고 다소 뚱뚱하게 보였다. 갈색 셔츠 차림에 안경을 쓰고 있었다. 우리는 악수하였는데, 그의 손은 단단하고 따뜻하였으나 건조해서 버석거리는 것 같았다. 나는 그에게 방에 있는 소파에 앉으라고 권하면서 내 자리로 갔다. 도널드 그린은 나에게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의자에 앉았고, 우리는 각자 상대방을 평가라도 하듯이 잠시 동안 바라만 보았다. 그는 으레 첫 면담 때에 나타나.. 2024. 10. 23. 심리 치료 장면에서의 정서 인간의 발달 과정이나 치료 장면에서 간과할 수 없는 핵심적인 측면 중의 하나는 바로 정서적 경험과 정서를 기존의 경험 구조 안에 통합하는 것이다. 치료 장면에서 정동을 기존의 자기 조직(self-organization) 속에 통합하는 과정에는 신체가 느끼는 정서적 경험을 분별하고, 상징화하며, 소유하고, 명확히 표현하는 것, 정서를 허락하고 수용하는 것, 정서를 신호체계로 사용하는 법을 배우는 것, 그리고 동일한 사람이나 상황에 대해 경험하는 각기 다른 혹은 모순되는 정서를 통합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이런 과정은 종종 다른 사람의 공감적 조율에 의해 촉진된다. 그리고 정서 경험을 기존의 개인 구조 속에 통합함으로써 보다 더 강한 통합된 자기감(sense of self)이 발전하게 된다. 정서는 상황에 대.. 2024. 10. 22.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4 유아와 어린이의 정신발달을 편집-분열적 자리에서 우울적 자리로 발달해가는 과정으로 인식한다면, 리비도 발달단계들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다. 두 자리 개념은 리비도 적 세력과 파괴적 세력이 구강기에서 성기기로 발달해 간다는 기본적인 개념과 상반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두 세력이 유아가 젖가슴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시기인 구강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항문기 경향성은 구강기와 완전히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축출과 투사는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기제로서, 축출은 환상에서 구강기적 용어(트림과 침 뱉기)나 요도기와 항문기적 용어들(소변, 대변, 방귀)로 표현된다. 삼켜지고 파편화된 나쁜 대상은 쫓아내야 할 대변과 동일시되거나, 어떤 상황에서는 이상화된다. 우울적 자리에서 파괴된 대상이 .. 2024. 10. 22.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3 제10장 : 마음의 구조, 불안, 죄책감에 대한 새로운 시각. 편집-분열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 개념을 통해 클라인은 일관성 있고 포괄적인 정신발달 이론과 정신병리 이론을 정립하였다. 「어린이 정신분석」과 초기의 논문들에서 그녀는 불안의 근원을 추적하고 그것을 대상관계라는 관점에서 분석했지만, 자신의 모든 발견을 프로이트와 아브라함의 리비도 발달단계 이론과 일치시키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그녀의 심리적 자리의 개념은 리비도 발달단계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개념으로서 그녀로 하여금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편집-분열적 자리는 우울적 자리에 앞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자리 사이에는 계속되는 변동이 존재하는데, 이 변동은 자리 개념이 시간적 순서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개념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2024. 10. 21.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2 아이는 남근을 유일한 성적 기관으로 보고, 여성의 성을 모르는 채로 어머니가 자신이나 아버지와 같이 남근을 가진 "남근 여성"이라는 환상을 갖는다. 프로이트의 설명에 의하면 아이의 리비도 발달은 "구강기, 항문기 그리고 남근기"의 세 단계를 거치며, 성이 온전히 구별되는 성기기는 사춘기에 가서야 확립된다. 프로이트는 리비도의 조직에 대해 말하면서, 리비도는 각 단계의 지배적인 특별한 본능적 요소를 갖는다는 것뿐만 아니라, 적합한 목표와 대상을 갖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따라서 구강기적 본능의 목표는 젖가슴을 빠는 것과 삼키는 것이고, 이때 적합한 대상은 젖가슴이며, 항문기적 본능의 목표는 배설과 참기이고, 그것의 대상은 대변이다. 남근기적 본능은 침투하는 것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이 시기의 대.. 2024. 10. 2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