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장례식 다음 날 그는 아버지와 분석가가 그를 도와주려고 하지만, 실은 그가 자신의 목숨을 지키려고 그들과 맞서 싸우는 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그는 "죽음이 나를 부른다"고 말했고, 분석 과정이 자신을 해체시킨다고 크게 불평했다. 파괴된 내적 부모, 죽어가는 황소, 그리고 그 안에 있는 상처 입은 어머니는 박해자가 되어 자신을 죽음에 이르도록 위협한다; 분석가는 그의 내적 부모를 나타내고, 분석가의 도움은 위협으로 느껴진다. 어머니의 장례식 후 셋째 날 밤에 그는 다음과 같은 꿈을 꾸었다. 그는 연상에서 어머니가 병이 나기 시작했을 때, 자신이 차를 전주에 들이받은 사고가 있었다고 말했다. 불타오르는 헛간은 그의 내면에 있는 부모를 나타낸다. 면담에서 그는 부모에 대한 자신의 공격성과 내면세계에서 그들이 파괴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사실을 매우 잘 알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그로 하여금 지금은 돌아가시고 없는 어머니를 애도하게 하고, 자신의 공격성에 대한 죄책감과 대면하게 했다. 자신의 공격성을 아버지에게로 전가한 투사, 그리고 첫 번째 꿈에서 위험에 처한 어머니를 버려두고 도망치는 모습에서 나타난 분열과 부인은 부분적으로 어머니가 실제로 몸이 아파 돌아가심으로써 다시 일깨워진 죄책감과 애도-우울적 자리에 속하는-에 대한 방어기제들이다. 그가 슬픔과 절망에 빠져 애도 과정을 거치고 있을 때, 깊이 묻혀있던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 점차 드러나게 되었고, 부모와의 관계가 변화되었다. 한번은 자신의 어린 시절에 즐거웠던 경험을 그들과 관련시켜서 말했다. "내가 존경하는 부모님"-그에게 이것은 새로운 시작이었다. 무엇보다도 박해의 감정이 줄어들었다. 어머니의 장례식 이후에 꾼 꿈에서 그는 자신의 분석가 그리고 아버지와 싸워야 했지만, 헛간 꿈에서 이 두 인물은 도움을 주는 인물로 나타났다. 「어린이 정신분석」의 자료들을 다시 살펴보면, 예를 들어, 에르나의 오이디푸스 적 재료는 기능상 편집-분열적 양태에 속해있음을 알 수 있다. 환상 안에서 부분 대상인 어머니의 몸과 아버지의 페니스에 가해지는 격렬한 모든 공격들은 또한 그녀의 대상들에게 투사되었고, 편집적, 신체 건강염려증적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 클라인은 이 사례에 대한 설명에서 에르나의 편집적 요소에 관심을 기울였다. 에르나의 자료는 리처드의 자료와는 대조적이다. 리처드는 어머니를 이상적인 젖가슴 어머니와 히틀러의 모습을 띤 아버지와 결합된 나쁜 성기기적 어머니로 분열시킴으로써 자신의 오이디푸스 상황에 대처했다; 하지만, 분석하는 동안에 그는 우울적 감정과 보상적 소망의 감정 모두와 씨름해야 했다. 예를 들어, 어느 날 클라인이 런던에 가야 했기 때문에 그의 분석은 중단되었다. 그때 그는 매우 공격적으로 되었는데, 이때 분석가는 나쁜 아버지(런던에 있는 적들)를 내포하고 있는 나쁜 성기기적 어머니를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곧바로 자신을 나타내는 배와 자신의 어머니와 클라인을 나타내는 배 사이에 충돌을 일으켰다: 리처드는 로드니와 넬슨(그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전투함들을 나란히 놓고, 그의 형제와 자신, 그리고 자기 개를 일렬로 세워 놓았다. 여기에서 함대 놀이는 부모가 함께 있는 것을 허용하고, 아버지와 형제의 권위를 인정함으로써 가족 간에 조화를 이루고 가정의 평화를 회복하려는 그의 소망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클라인은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리처드는 자신의 경쟁자인 아버지와 형제들에게 공격받을 것이라는 두려움에 대한 방어뿐만 아니라 좋은 대상에 대한 관심에 의해서도 지배되었다. 이때 사랑의 감정 그리고 환상 속에서 손상-자신의 증오와 질투에 굴복하면 다시 반복될-시킨 대상에 대한 보상 충동은 매우 큰 힘으로 나타났다. 리처드의 경우, 어머니와 성행위하고 싶은 소망은 그녀를 회복시키고 그녀에게 아이를 주고 싶은 보상적 소망에 의해 강화되었다. 성적인 측면에서 내적 부모와 동일시하는 것은 외적 부모에 대한 사랑 및 관심과 함께 아이가 외적 부모를 성적으로 소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점차 포기하고, 그 욕구를 다른 대상으로 옮기도록 도와준다. 클라인은 또한 자리 개념을 통해서 불안과 죄책감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확립하였다. 클라인의 연구 전체를 통해서 불안의 분석이 주도적인 이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안과 죄책감을 중심으로 다룬 논문은 하나밖에 없다. 편집-분열적 자리의 개념을 정립한 직후에 클라인은 불안과 죄책감에 대한 이론을 더욱 정교화했고, 프로이트의 견해와 더욱 일치하는 개념적 틀을 갖게 되었다. [멜라니 클라인 : 정신분석학에 끼친 영향] 멜라니 클라인의 생각들은 정신분석학적 연구 활동에 자극을 주었고 이에 기초한 새로운 연구들이 지금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그녀의 정신분석학 이론이 정신분석의 실제에 끼친 영향을 전체적으로 평가하기에는 아직 너무 이른 감이 없지 않다. 그녀의 연구가 치료 기술뿐만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신분석학적 접근에, 즉 정신분석학적 세계관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녀의 작업을 통해서 프로이트의 연구 결과는 많은 발달을 거쳤다. 프로이트의 이론의 경향성 가운데 하나는 정신분석학을 생물학에 기초한 과학적 학문으로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가 경제적 관점이라고 불렀던 것, 즉 그의 첫 번째 본능이론-리비도 집중과 반리비도 집중, 본능의 방출, 방출의 차단으로 인한 퇴행 등-은 물리학자의 에너지 변형 모델에 기초한 것이었다.
'심리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그린과의 첫 번째 면담(2) (0) | 2024.10.24 |
---|---|
도널드 그린과의 첫 번째 면담 (0) | 2024.10.23 |
치료 장면에서 정서 도식을 활성화시키기 (0) | 2024.10.23 |
심리 치료 장면에서의 정서 (0) | 2024.10.22 |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4 (0)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