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인공(Protagonist) : Protagonist란 일반 연극에서 주인공이라 불리는 역이며 사이코드라마에서는 환자 혹은 자발적으로 선택된 주인공을 말한다. 즉 사이코드라마의 주인공으로서 자신의 문제 혹은 인생 생활을 극으로 묘사하게 된다. "연극에 있어서 배우는 자기를 버리고 각본 속의 인물이 되어야 하지만,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요구된다. 환자는 충분히 준비 작업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내면생활을 집단 앞에 문제로서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는 자신에 대한 훌륭한 연기자가 되어 있다. 또한 이때는 자신의 감정대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 자발성이란 곧 표현의 자유인 것이다(Moreno). (2) 연출자(Direct) : 연출자는 치료사로서 사이코드라마 전반을 이끌어 가는 기능을 한다. 사이코드라마에서의 연출자는 우선 극의 시간을 치료적 분위기와 극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3단계로 나눈다. 맨 처음은 극이 시작되어 10분에서 2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는 준비 단계(Warm up)를 말한다. 이 시기에 연출자는 주인공의 자발성을 유도하여 주인공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극적인 분위기로 서서히 빠져들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주인공이 자기가 맡은 역할에 대해서 창조성을 발휘하도록 북돋아 준다. 처음에는 기본적인 연기밖에 할 수 없고 감정의 표출도 쉽지 않으나 보조 자아의 도움을 받아 극적인 분위기를 서서히 조성해 나가는 시기이다. 그래서 Warm up은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단계이며, 이 Warm up을 통해 주인공은 진실과 믿음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게 되고, 자신감을 갖게 되며, 쑥스러운 감정들을 극복함으로써 억압된 것들로부터 해방될 수도 있다. 연출자는 주인공의 연기 내용 속에서 그들의 문제를 잘 파악하고 분석하여 그때그때 보조 자아를 무대에 등장시켜 상황에 변화를 주어야만 한다. 이후 행위화 단계(Action)에서는 Warm up 단계에서 제시된 주인공의 문제를 탐색하고 저항을 다루어 나감으로써 그로 하여금 행위의 완성을 통하여 카타르시스가 오도록 한다. 그런 후에 종결 단계(Closing)에 접어들어 주인공으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깨닫게 하고, 관객들과 자신의 문제를 공유하고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극은 끝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출자는 관객들의 반응도 살펴 가며 내담자가 무대 위에서 역할을 맡아서 연기할 적에 내담자 그 자신의 변화는 물론 관객들의 변화까지도 관찰하고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출자는 전문적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3) 보조 자아(Auxiliary ego) : 사이코드라마에는 주인공이 극을 엮어 가는 과정에서 극의 진행을 도와줄 인물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인물을 보조 자아 또는 보조자라고 한다. 보조 자아는 극 중 주인공의 상대역을 하고 주인공이 극을 진행하는데 촉진자 역할을 한다. 보통 보조 자아의 역할을 주인공에게 있어서 가장 영향을 주는 사람의 역할을 하게 한다. 주인공과 갈등, 적개심들의 감정을 일으키는 중요 인물의 역할을 맡아 주인공의 내부 감정을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대인관계의 역동을 끄집어내어 치료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보조 자아 또는 보조자는 사이코드라마 장면에 참가하는 주인공과 연출자 이외의 모두를 일컫는다. 대개 보조 자아는 주인공의 생활 속의 인물, 이를테면 부인, 남편, 고용주, 또는 주인공 자신의 또 다른 일부분을 표현한다. 또한 보조 자아는 환상적인 인물의 역할도 한다. 신의 역할이라든지 재판관 또는 악마나 사탄의 역할 등을 한다. 이외에도 주인공과 밀접한 관계인 생활필수품이나 무생물 혹은 동물 등의 대상물이 되어주기도 한다. 즉, 보조 자아는 주인공에게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주인공 자기 자신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 같은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4) 관객(Audience) : 관객은 사이코드라마가 진행되는 동안 참석하여 주인공의 이야기를 보고 있는 나머지 사람들을 말한다. 관객은 정신 치료 집단이거나 집단상담의 경우라면 집단원 주인공의 가족 구성원들일 수도 있다. 사이코드라마의 관객은 일반 연극 관객과는 달리 주인공이 자신의 감정들을 탐구하는 과정에 직접 참가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맡는다. 사이코드라마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동질 집단일 경우는 공통의 주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질 집단의 경우보다 집단응집력이나 자발성이 우수하다. (5) 무대(Stage) : 행동표현이 일어나는 장소로서 사이코드라마를 위한 여러 층계의 무대로 나누어져 있다. Moreno는 사이코드라마를 하기 위한 방으로 약간 둥근 그리고 계단식으로 경사가 있는 관객석, 관객과 무대 사이를 연결 짓는 널찍한 계단, 조명과 음향이 있는 무대를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이코드라마를 하는 곳마다 그런 장치가 모두 갖춰져 있지는 않다. 책걸상에 교탁이 있는 전형적 교실이 될 수도 있고 책걸상이 U자형으로 배치된 회의실이 될 수도 있으며 조명 장치가 되어 있지 않은 마루가 깔린 체육관이 될 수도 있다. 이상적인 방은 좋긴 한데 구경하기가 힘들고 어떻게 보면 필요 불가결한 것도 아니다. 사이코드라마의 토대는 가상적 역할을 해보는 것이므로 거실이든 사무실, 교실, 정원 어느 곳이든 무대가 될 수 있다. 조명이나 음향기기 같은 보조기구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당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수조명은 여러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붉은색 조명은 지옥, 작은 술집, 또는 강렬한 감정적 장면을 표현할 수 있으며, 푸른색은 죽음의 장면, 천국 또는 바다를, 완전한 암흑은 고립과 외로움을 연기하는 장면에서 효과적이며, 흐린 조명은 꿈속의 장면들을 표현할 때 독특한 분위기를 살려준다. 잔잔히 흐르는 배경음악이라든지 의미 있는 감정을 유발시키는 녹음된 노래 같은 음악도 역시 사이코드라마에 강력한 부속물이 될 수 있다.
'심리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각의 심리학, 색채시각 (0) | 2024.10.30 |
---|---|
망막과 색채항등성 (0) | 2024.10.30 |
심리학자들은 왜 동물을 연구하는가? 동물 실험은 윤리적인가? (0) | 2024.10.29 |
행동 치료자가 되기 위한 훈련과 치료 환경 (0) | 2024.10.28 |
심리과학을 비판적으로 생각하기, 과학적 태도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