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3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3 제10장 : 마음의 구조, 불안, 죄책감에 대한 새로운 시각. 편집-분열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 개념을 통해 클라인은 일관성 있고 포괄적인 정신발달 이론과 정신병리 이론을 정립하였다. 「어린이 정신분석」과 초기의 논문들에서 그녀는 불안의 근원을 추적하고 그것을 대상관계라는 관점에서 분석했지만, 자신의 모든 발견을 프로이트와 아브라함의 리비도 발달단계 이론과 일치시키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그녀의 심리적 자리의 개념은 리비도 발달단계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개념으로서 그녀로 하여금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편집-분열적 자리는 우울적 자리에 앞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자리 사이에는 계속되는 변동이 존재하는데, 이 변동은 자리 개념이 시간적 순서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개념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2024. 10. 21.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2 아이는 남근을 유일한 성적 기관으로 보고, 여성의 성을 모르는 채로 어머니가 자신이나 아버지와 같이 남근을 가진 "남근 여성"이라는 환상을 갖는다. 프로이트의 설명에 의하면 아이의 리비도 발달은 "구강기, 항문기 그리고 남근기"의 세 단계를 거치며, 성이 온전히 구별되는 성기기는 사춘기에 가서야 확립된다. 프로이트는 리비도의 조직에 대해 말하면서, 리비도는 각 단계의 지배적인 특별한 본능적 요소를 갖는다는 것뿐만 아니라, 적합한 목표와 대상을 갖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따라서 구강기적 본능의 목표는 젖가슴을 빠는 것과 삼키는 것이고, 이때 적합한 대상은 젖가슴이며, 항문기적 본능의 목표는 배설과 참기이고, 그것의 대상은 대변이다. 남근기적 본능은 침투하는 것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이 시기의 대.. 2024. 10. 20.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1 멜라니클라인(Melanie Klein)은 프로이트의 충실한 추종자였다. 그녀는 처음에는 주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서 프로이트의 견해를 발전시켰고, 나중에는 그의 견해를 새롭게 이론화하는 작업을 통해서 그가 개발한 지식과 이해의 영역을 확장했다. 그녀의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론적 바탕을 이루는 정신분석 개념들을 개관해 볼 필요가 있다. 클라인이 연구를 시작한 해인 1919년까지 정신분석 이론은 커다란 발전을 이루었다. 이 시기에 프로이트의 정신발달 이론은 아직 두 가지 중요한 이론화 작업을 거치기 전이기는 했지만, 어떤 면에서 완전한 것이었다. 1920년대는 정식 분석 이론의 역사에서 하나의 분기점이 되었다. 그 해에 프로이트는 "쾌락 원리를 넘어서(Beyond the Pleasu.. 2024. 10.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