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1 멜라니클라인의 정신분석학-4 유아와 어린이의 정신발달을 편집-분열적 자리에서 우울적 자리로 발달해가는 과정으로 인식한다면, 리비도 발달단계들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다. 두 자리 개념은 리비도 적 세력과 파괴적 세력이 구강기에서 성기기로 발달해 간다는 기본적인 개념과 상반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두 세력이 유아가 젖가슴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시기인 구강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항문기 경향성은 구강기와 완전히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축출과 투사는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기제로서, 축출은 환상에서 구강기적 용어(트림과 침 뱉기)나 요도기와 항문기적 용어들(소변, 대변, 방귀)로 표현된다. 삼켜지고 파편화된 나쁜 대상은 쫓아내야 할 대변과 동일시되거나, 어떤 상황에서는 이상화된다. 우울적 자리에서 파괴된 대상이 .. 2024. 10. 22. 이전 1 다음 반응형